전지민 칼럼

검색포털 광고글 그만 보셔도 됩니다.
전지민 칼럼에서 '진짜 소송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가세요.

전지민 칼럼

가사 토지상속절차, ‘이것’ 챙겨야 깔끔하게 끝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5.02.26

본문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8787_0305.png 


형제간에 힘들게 얘기 끝냈는데,

돌아가시고 나서 보니 몰랐던 토지가 있었어요.


형제들끼리 잘 이야기를 끝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고인께서 돌아가시고 나서 보니 몰랐던 재산이 있었다면?


이런 경우,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닙니다.

자칫 잘못하면 세금 폭탄으로 돌아올 수도 있거든요.


왜 이런 일이 생기냐고요?


토지상속절차에서 가장 기본적인 ‘이것’

처음부터 제대로 챙기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8854_958.png


토지상속절차, 무엇이 다를까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8898_3787.png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경우들이 있습니다.


'아버지에게 토지가 있다는 사실을... 돌아가신 후 알게 되었습니다'

'생전에 빚이 있으셨는지 전혀 몰랐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새로운 재산이 나타나면 좋은 것 아니냐고요?


글쎄요. 상속 재산에 대해 상속인들 간에 이미 협의를 다 끝냈는데 또 다른 숙제가 덜컥 나타난다면, 누가 마냥 좋아만 할 수 있을까요?


또, 당장 취득세나 상속세 낼 현금이 없는데 새로운 상속재산이 나타난다면?


여러모로 골치가 아플 수밖에 없죠.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462_5504.png


토지상속절차는 재산 가액도 크고, 분할 방법도 복잡합니다.


때문에 일반 재산보다 처음부터 꼼꼼하게 챙겨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데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모든 상속 절차가 그렇듯 고인의 모든 자산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겁니다.


상속 재산은 정부 24의 안심 상속 원스톱 서비스 조회를 통해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어요.


저는 의뢰인들께 금융기관의 피상속인 명의 자산 조회도 해 보시라고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또, 부동산의 경우 원스톱 조회만 믿지 마시고 등기부 등본 조회도 따로 확인해 보라고 말씀드려요.


안심 상속 원스톱 서비스에 모든 재산이 정확히 전부 조회되면 좋겠지만, 누락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만에 하나라도 그게 내 경우가 된다면? 일이 잘못될 확률은 100%인 셈이죠.


그러니, 여러 가지 방법으로 크로스체크해 봐야 진짜로 안심할 수 있습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8976_0319.png

그리고 토지상속절차에서 또 한 가지 체크하셔야 하는 사항이 있어요.


토지, 특히 농지나 시골에 있는 땅을 상속받을 경우 등기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미등기 토지의 경우, 토지를 매도하거나, 국가로부터 수용이나 보상금 지급이 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미등기 토지는 매매를 할 수도 없고, 보상금을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보존 등기를 한 후 토지에 대한 분할을 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012_1515.png

988ff20a37e076a86b5c1111020bc653_1735468845_2544.png

토지상속절차에서 반드시 챙겨야 하는 '이것'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046_579.png


토지와 건물과 같은 부동산의 경우, 상속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당장 현금이 필요한 상속인이라면 토지를 현재 시가로 매각해서 현금으로 나누자고 할 수 있고요. (1. 매각 후 분배)


그렇지 않다면 토지 그 자체를 나눠서 소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 현물 분할)


아니면, 한 사람이 토지를 혼자 온전히 소유하고 다른 가족의 몫은 돈으로 나눠주는 방식도 있고요. (3. 가치 환산 후 분할)


저는 의뢰인들께 설명드릴 때 이렇게 말씀드려요.


‘결국 나누는 것이 핵심이에요. 부동산 그 자체로 나눌지, 부동산을 팔아서 돈으로 나눌지에 따라 방법과 시기가 약간 달라지는 거죠.’


그리고 어떤 식으로 나누든 꼭! 챙기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재산분할협의서’인데요.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088_8134.png


실무에서 보면, 토지상속절차에서 정말 중요한 이 ‘재산분할협의서’를 소홀히 하셔서 나중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동상속인들이 친족관계이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데요.


좋은 게 좋은 거다, 가족끼리 합의했으니까 된 거겠지,라고 편하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나 후에 공동 상속인 중 한 명이라도 말을 바꾸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어요.


세금과 관련한 사항을 어떻게 처리할지 다 정해 놨는데, 논의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가게 될 수 있고요.


상속과 관련한 절차 전체가 늦어지게 되면서, 심각할 경우 가산세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협의를 할 경우, 재산분할의 방식과 내용을 반드시 서류상으로 작성하고, ‘모든 상속인의 서명’까지 빠짐없이 기입해야 합니다.


그렇게 작성한 재산분할협의서는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게 됩니다. 쉽게 말해, 나중에 말을 바꿀 수 없다는 뜻입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164_3659.png

988ff20a37e076a86b5c1111020bc653_1735469048_4961.png

상속, 원스톱으로 끝내는 전략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207_1658.png


의뢰인께서는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남은 재산 분할 때문에 상담을 하러 오셨어요.


어머니를 찾아뵙지도, 병간호에도 신경 쓰지 않던 장남이 오랜 시간 홀로 병간호를 해 왔던 의뢰인과 똑같은 상속 재산 지분을 요구하고 나서며 형제간 갈등이 심해지셨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형제간 지나친 법적 다툼은 원치 않으셔서, 저 또한 협의를 목표로 대화를 시도했는데요.


알고 보니, 장남의 경우 개인 채무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재산을 분할 받고자 과다한 지분을 주장했던 거였어요.


저는 장남에게 재판으로 진행할 경우 시간은 시간대로 들고 분할에 있어서도 결코 유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득했습니다.


다행히 장남은 저의 설득을 받아들였고, 다른 형제들도 의뢰인이 가장 많은 재산을 분할 받기로 협의하는데 동의하였습니다.


이후 저는 형제들이 말을 바꿀 수 없도록 최대한 빨리 재산분할 협의서를 작성하여 형제들 모두의 서명을 받아 두었어요.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252_3417.png


그러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고인께서 오랫동안 사셨던 지역의 건축물대장도 확인해 보았습니다.


의뢰인의 어머니께서 생전 지나가는 말로, 시골에 아버지 이름으로 된 땅이 조금 있다고 말씀하셨다고 했거든요.


하지만 다시 여쭤보니 기억나지 않는다고 하셨고, 혹시나 해서 의뢰인도 찾아봤지만 부모님 명의로 된 땅은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오랜 기간 상속 절차를 상담해 온 변호사로서 아무래도 확인을 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시골 어르신들의 경우,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등기되지 않은 농지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시거든요.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293_4237.png

이렇게 미등기된 토지의 경우, 안심 상속 원스톱 조회를 해 봐도 나오지 않아요.


그래서 아무런 대비도 하지 않고 있다가, 나중에 기존 주택을 팔면서 1가구 2주택이 되어 양도세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인께서 사시던 지역의 건축물대장을 확인해 보니, 역시나 제 예상대로였습니다.


고인의 아버지 소유인 토지와 주택이 있었던 건데요.


농지와 주택의 명의가, 오래전 돌아가신 할아버지 이름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뢰인이 미처 확인하지 못한 것이었어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의뢰인의 아버지께서 그 주택과 농지의 단독 상속인이 되었는데, 이후에도 보존 등기를 하지 않고 그냥 지내셨던 거고요.


해당 주택과 농지는 동네 친척이 사용하면서 매년 임대료 명목의 농작물을 어머니 댁으로 보내주었고, 의뢰인은 여태껏 이 농작물을 시골의 친척이 호의로 보내주는 것으로 알고 있으셨던 겁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349_1122.png


어머님 명의 주택에 대한 재산분할 협의가 다 끝난 상황에서 새로운 농지와 주택의 존재를 알게 되어, 다시 한번 재산 분할 협의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요.


이미 기존 협의를 위해 여러 차례 논의를 진행한 이후여서, 의뢰인 형제들이 어떤 부분을 아쉬워하는지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두 번째 협의는 보다 간결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어요.


결과적으로 의뢰인은 협의에 의해 어머니 주택의 지분 60퍼센트를 상속받게 되었습니다.


또, 첫 번째 협의 당시에는 몰랐던 할아버지 명의 토지, 주택도 단독 상속하기로 하였는데요.


의뢰인이 단독 상속을 하는 대신, 형제들의 지분에 대해서는 소액의 지분 가액을 현금 지급하기로 하며 상속 재산 분할 협의를 무사히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05e57d2bcd9eca4095aa0347918a08e9_1740569371_9088.png


의뢰인조차 미처 모르는 고인의 생전 흔적까지,
꼼꼼히 확인하고 탐지하여 절차를 진행하는 것.
상속 전문 변호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미덕이라고 생각합니다.

FROM. 이혼·가사 전문 변호사 전지민 변호사

 

상담문의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태민(이하 "본 법무법인"이라고 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본 법무법인이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정보 파일명 : 인적사항
-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법률 서비스 제공
- 수집방법 : 생성정보 수집 툴을 통한 수집, 전화/팩스, 서면양식, 홈페이지
- 보유근거 : 통신비밀보호법 등
- 보유기간 : 준영구
- 관련법령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제2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인적사항
- 필수항목 : 이름, 휴대전화번호, 접속 로그, 상담신청 절차에서 발생된 정보
- 선택항목 :

제3조(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본 법무법인 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기절차: 본 법무법인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본 법무법인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 파기방법: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제4조(개인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1) 정보주체는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및 동의 철회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본 법무법인은 정정 또는 삭제 등의 조치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지 않습니다.
(2)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본 법무법인에 대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 서식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3) 제1항의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을 통해서도 행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본 법무법인에 제출해야 합니다.
(4) 본 법무법인은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관하여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5조(개인정보의 파기)
(1) 본 법무법인은 제1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개인정보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본 법무법인은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3) 본 법무법인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4) 개인정보가 기록된 출력물, 서면 등은 파쇄 또는 소각의 방법으로 파기하고, 전자파일 형태의 개인정보는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는 방법으로 파기합니다.
(5) 게시물의 경우 정보주체가 본인의 게시물을 삭제하지 않는 한 본 법무법인은 해당 게시물에 담겨 있는 개인정보를 계속적으로 보유합니다. 다만, 정보주체는 본인의 게시물을 언제든 삭제할 수 있으며 정보주체에 의한 게시물 삭제 이후에는 게시물 이에 담겨있는 개인정보는 추후 열람이 불가능한 상태로 처리됩니다.

제6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1)본 법무법인은 관계 법령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안전성 확보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가. 물리적 보호조치 : 전산실, 자료실 등에 개인정보 보관 장소에 대한 접근통제
나. 관리적 보호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 교육
다. 기술적 보호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통제, 접근권한 관리,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및 암호화

제7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관한 사항)
본 법무법인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전지민
연락처: 010-2665-5506, jelcjjm@naver.com

제8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본 법무법인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법령이 정한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9조(권익침해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42) 전남 나주시 진흥길 9 (빛가람동)
※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화 : 1833-6972
- 주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12층
※ 대검찰청 사이버수사과
- 소관업무 : 개인정보침해 등 신고 및 제보, 사이버범죄 수사
- 홈페이지 : spo.go.kr
- 전화 : (국번없이) 1301
- 주소 : (06590)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57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침해 등 신고 및 제보, 사이버범죄 수사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화 : (국번없이) 182
- 주소 :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X

이메일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① 누구든지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자 또는 관리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누구든지 제1항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누구든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면서 이를 정보 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X

면책공고

법무법인 태민의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내용들은 오로지 일반적인 정보를 위한 것으로서 자격을 갖춘 변호사에 의한 법률자문을 대신하는 것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법률자문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는 사건과 관련된 특정의 사실관계, 사안의 전말을 변호사에게 먼저 상담함이 없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 등에 따라 행동해서는 안 됩니다.

본 웹사이트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령하는 것이 본 웹사이트 방문자와 법무법인 태민 사이에 변호사와 의뢰인의 관계를 창설하거나 승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논문 및 자료상의 견해는 저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당 법무법인의 견해가 아님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정보에 대해서는 법무법인 태민이 저작권을 갖습니다.
본 웹사이트에 있는 내용은 사전 서면 허락 없이는 어떤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습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를 위하여 이 웹사이트로부터 인터넷상의 다른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무법인 태민은 그러한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를 추천하거나, 그 내용을 보장하거나, 그러한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에서 검색된 정보에 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