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민 칼럼

검색포털 광고글 그만 보셔도 됩니다.
전지민 칼럼에서 '진짜 소송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가세요.

전지민 칼럼

재산분할 결혼10년 재산분할, 50%로 만족하실 건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5.02.25

본문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269_0343.png 


"남편 바람 때문에 이혼하는 마당에

재산까지 반반 나눠야 하나요? 너무 억울합니다."


요즘 상담 오시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결혼10년 재산분할 시, 분할 비율이 50%라는 말을

마치 법칙처럼 믿고 계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잘못된 믿음 때문에 이혼 협의 과정 중,

정당히 가져갈 수 있는 몫조차 제대로 다퉈보지도 않고 포기하기도 합니다.


재산분할은 수학공식이 아닙니다.


결혼10년 재산분할, 반반 나누는 법칙 같은 것은 없다는 것을,

오늘 제대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342_8856.png


재산분할, 제대로 알고 계시나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370_332.png


이혼 시 갈등의 대부분은 재산 분할에서 비롯됩니다.


재산 분할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기준, 무엇일까요?


아마, 기여도를 떠올린 분들이 가장 많을 겁니다.


실제로 상담 온 분들께 여쭤봐도 기여도를 가장 중요한, 그리고 유일한 기준이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요.


글쎄요.


정말 기여도가 재산 분할에서 가장 중요할까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462_5504.png


사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기여도는 법원이 고려하는 요소들 중 하나의 요소에 불과하거든요.


법원은 재산 분할을 할 때 기여도뿐만 아니라, 당사자 중 일방이 이혼 후 경제적으로 자립해서 살아갈 수 있을지 고려하기도 하고요.


유책 배우자의 책임을 묻기 위해, 재산 분할에서 불이익을 주기도 합니다.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506_5738.png

988ff20a37e076a86b5c1111020bc653_1735468845_2544.png

재산분할, 기여도가 전부가 아닌 이유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529_4363.png


그래서 결혼10년 재산분할에서 기여도가 유일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잘못 알고 오시는 의뢰인들을 뵐 때마다, 안타까운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주로 전업주부로 평생 살아오신 의뢰인들이 많이들 그러세요. 재산 형성에 기여한 바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셔서, 제대로 다퉈 보기도 전에 지레 포기하시려는 마음을 먹고 계시는 거죠.


그냥 이혼만 하면 좋겠다고, 10년 넘게 결혼 생활을 해 왔으니 재산의 반이라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하시는데요.


저는 그런 의뢰인들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추어, 어떤 식으로 결혼10년 재산분할 전략을 짤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드려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568_4362.png


1. 재산 목록 확인


먼저 의뢰인의 상황을 꼼꼼히 체크해 보고 재산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이 어떤 것들이 있을지 확인해 봅니다.


재산 분할 대상으로는, 숟가락, 젓가락 하나까지도 전부 분할 대상이 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혼수로 가져오신 가재도구나 가전, 가구와 같은 살림살이,

현금, 금괴, 주식, 대여금, 보증금 반환채권과 같은 현물,

주택, 건물, 토지와 같은 부동산, 자동차와 같은 것들이 기본적인 분할 대상이고요.


뿐만 아니라 빚, 채무와 같은 소극 재산도 분할 대상이 되며, 가상화폐와 같은 무형의 자산도 분할 대상이 됩니다.


이렇게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 목록을 정리한 다음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중요한 절차가 또 있어요.


2. 재산 보전 절차


바로, 가압류와 같은 보전 절차를 통해 배우자의 재산 은닉 시도를 미연에 방지하는 겁니다.


재산을 은닉하지 못하도록 미리 조치하지 않으면 재판을 유리하게 이끌더라도 남는 것은 없는, 이겨도 이긴 것이 아닌 상황이 올 수도 있거든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621_0201.png

그런 상황은 있어서는 안 되기에, 저는 의뢰인이 찾아오시면 가능한 지체 없이 가처분을 신청하는 편입니다.


단 하루, 아니 반나절이라도 상대방보다 앞서 움직이는 것이 이후 결과를 얼마나 크게 달라지게 하는지 그 중요성에 대해 무척 잘 알고 있거든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680_8104.png

3. 기여도, 자녀 단독 양육 여부, 상대방 유책도 확인


결혼 생활 중 맞벌이를 했는지, 했다면 어느 정도의 수입을 벌어 왔는지,

만약 가정주부였다면 가사와 양육을 어느 정도 책임져 왔는지.


이런 부분을 체크하는 것은, 기여도를 유리하게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됩니다.


결혼10년 재산분할에 있어서는 이렇게 기여도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사회보장적인 요소와 상대방의 유책성 또한 고려한다고 말씀드렸죠.


예를 들어 이혼 후 경제적으로 심각하게 곤궁한 처지가 될 상황이라거나,

미성년 자녀를 양육해야 하는 쪽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이 된다면?


이 사회보장적 요소를 강하게 주장하여 재산 분할에서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명백한 유책 배우자라면, 유책성을 강력하게 입증하는 전략을 통해 결혼10년 재산분할을 확정적으로 유리하게 이끌 수도 있는데요.


당장 얼마 전 있었던 제 의뢰인의 사례가 이러한 상황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떠오르네요.

988ff20a37e076a86b5c1111020bc653_1735469048_4961.png

최대한의 재산분할을 위한 최선의 전략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749_3289.png


의뢰인은 11년 정도의 결혼 생활을 끝내고 싶다며 제게 상담을 요청하셨습니다.


이유는 남편의 지속적인 외도와 방탕한 생활 때문이었는데요.


남편은 전문직이어서 소득 자체는 높았으나, 결혼 생활 내내 직장 생활을 하다 말다 했다고 해요.


2년 이상 꾸준히 다닌 직장이 없었고, 가족의 생활비는 대부분 사업체를 운영하는 의뢰인의 소득으로 해결해 왔다고 합니다.


부부의 자산으로는 상가 건물, 아파트 두 채, 자동차 두 대와 현금, 주식 등이 있었는데요. 남편이 결혼할 때 60퍼센트의 대출을 끼고 매매해 온 아파트 한 채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자산은 의뢰인이 사업소득으로 이룬 것이었습니다.


외벌이나 다름없던 의뢰인은 남편이 쓰고 다니는 카드 결제 대금까지 전부 홀로 해결해 오던 상황이었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생각해서 어떻게든 가정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남편의 외도가 끝이 날 것 같지 않자 더 이상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803_7043.png


의뢰인은 결혼 기간이 10년 이상이 되고, 남편이 자녀 양육에 참여를 안 한 것도 아닌 데다, 의뢰인의 사업체에서 간간이 일을 도왔기 때문에 재산의 절반을 넘겨줘야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계셨습니다. 게다가 남편이 직장 생활을 꾸준히 하지 않아서 그렇지, 전문직이었기 때문에 소득 자체는 적지 않기도 했고요.


그러나 저는 의뢰인께 주장하기에 따라 최소 80퍼센트 이상의 재산 분할 받을 수 있을 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남편은 의뢰인 회사에서 일을 했던 것, 무직 생활 중 자녀의 통학을 도맡아 했던 부분을 기여도의 근거로 주장하려고 하겠지만, 그러한 주장은 소용없을 거라고요.


왜냐고요?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850_681.png


남편이 아내 회사의 일을 돕고, 아이의 통학을 도운 것. 이유가 있었는데요.


전부 상간녀와 자연스럽게 만날 상황을 만들기 위해 의뢰인의 사업체에 출근하며 일을 돕는 척 한 것이었고, 자녀의 통학을 도와준다는 핑계로 과외 교사와 지속적으로 만날 계기를 만들기 위해서였더군요.


저는 남편의 블랙박스 영상, 돈을 출금하여 모텔에 드나드는 cctv 영상, 상간녀를 위한 선물을 구매한 백화점 영수증 내역, 이메일 및 문자 메시지, 카카오톡 메시지 기록, 통화 내역, 드나들던 교외 숙박업소 근처의 마트 지출 영수증 등 남편의 외도의 증거를 낱낱이 첨부하였습니다.


전부 '아내 사업체의 일을 돕고, 자녀 양육에 동참했다'라고 남편이 주장한 기간 동안 저지른 외도의 증거였죠.


저는 재판 과정 중 '아내의 사업체 일을 돕고, 자녀 통학을 전담했다'는 남편의 주장을 배척하지 않고, 일부러 내버려두었는데요. 덕분에 남편 측의 주장은 의도와 달리 자신의 부정행위를 더욱 보강하는 자료로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b993f6ab829a7f1513adc89048c0e821_1740475921_8343.png

재판부는 저의 주장을 받아들였습니다. 21억 정도의 재산 분할 대상 중 18억 5천여만 원의 재산을 의뢰인 몫으로 인정한 건데요.


남편이 결혼 전 60퍼센트의 대출금을 끼고 구매했던 아파트의 재판 종결 당시 시가가 구매 당시에 비해 2억 정도 올라 5억 정도였던 것, 그리고 결혼 생활 11년간 전문직 월급으로 벌어 온 소득이 총 3억여 원 정도 되는 점을 고려하면,


재판부가 기여도만으로 재산 분할 판결을 한 것이 아니라 손해배상적인 요소 또한 고려하여 의뢰인의 재산 분할이 훨씬 더 유리하게끔 판결을 내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혼 재산 분할, 정해진 공식은 없습니다.
어떤 전략으로, 얼마나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의도된 답이 있을 뿐이죠.

FROM. 이혼·가사 전문 변호사 전지민 변호사

 

상담문의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태민(이하 "본 법무법인"이라고 함)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본 법무법인이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정보 파일명 : 인적사항
-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법률 서비스 제공
- 수집방법 : 생성정보 수집 툴을 통한 수집, 전화/팩스, 서면양식, 홈페이지
- 보유근거 : 통신비밀보호법 등
- 보유기간 : 준영구
- 관련법령 : 표시/광고에 관한 기록 : 6개월,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5년,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신용정보의 수집/처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기록 : 3년

제2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인적사항
- 필수항목 : 이름, 휴대전화번호, 접속 로그, 상담신청 절차에서 발생된 정보
- 선택항목 :

제3조(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방법)
본 법무법인 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기절차: 본 법무법인은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본 법무법인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 파기방법: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합니다

제4조(개인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1) 정보주체는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및 동의 철회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본 법무법인은 정정 또는 삭제 등의 조치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지 않습니다.
(2)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본 법무법인에 대하여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 서식에 따라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3) 제1항의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을 통해서도 행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본 법무법인에 제출해야 합니다.
(4) 본 법무법인은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관하여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5조(개인정보의 파기)
(1) 본 법무법인은 제1조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개인정보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본 법무법인은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3) 본 법무법인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4) 개인정보가 기록된 출력물, 서면 등은 파쇄 또는 소각의 방법으로 파기하고, 전자파일 형태의 개인정보는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는 방법으로 파기합니다.
(5) 게시물의 경우 정보주체가 본인의 게시물을 삭제하지 않는 한 본 법무법인은 해당 게시물에 담겨 있는 개인정보를 계속적으로 보유합니다. 다만, 정보주체는 본인의 게시물을 언제든 삭제할 수 있으며 정보주체에 의한 게시물 삭제 이후에는 게시물 이에 담겨있는 개인정보는 추후 열람이 불가능한 상태로 처리됩니다.

제6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1)본 법무법인은 관계 법령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안전성 확보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가. 물리적 보호조치 : 전산실, 자료실 등에 개인정보 보관 장소에 대한 접근통제
나. 관리적 보호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 교육
다. 기술적 보호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통제, 접근권한 관리,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및 암호화

제7조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관한 사항)
본 법무법인은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 전지민
연락처: 010-2665-5506, jelcjjm@naver.com

제8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본 법무법인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법령이 정한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9조(권익침해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42) 전남 나주시 진흥길 9 (빛가람동)
※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 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kopico.go.kr
- 전화 : 1833-6972
- 주소 :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12층
※ 대검찰청 사이버수사과
- 소관업무 : 개인정보침해 등 신고 및 제보, 사이버범죄 수사
- 홈페이지 : spo.go.kr
- 전화 : (국번없이) 1301
- 주소 : (06590)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57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소관업무 : 개인정보침해 등 신고 및 제보, 사이버범죄 수사
- 홈페이지 : cyberbureau.police.go.kr
- 전화 : (국번없이) 182
- 주소 : (0373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97
X

이메일수집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① 누구든지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자 또는 관리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누구든지 제1항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누구든지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면서 이를 정보 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X

면책공고

법무법인 태민의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내용들은 오로지 일반적인 정보를 위한 것으로서 자격을 갖춘 변호사에 의한 법률자문을 대신하는 것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법률자문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는 사건과 관련된 특정의 사실관계, 사안의 전말을 변호사에게 먼저 상담함이 없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 등에 따라 행동해서는 안 됩니다.

본 웹사이트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령하는 것이 본 웹사이트 방문자와 법무법인 태민 사이에 변호사와 의뢰인의 관계를 창설하거나 승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재된 논문 및 자료상의 견해는 저자들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당 법무법인의 견해가 아님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본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정보에 대해서는 법무법인 태민이 저작권을 갖습니다.
본 웹사이트에 있는 내용은 사전 서면 허락 없이는 어떤 형태로도 재생, 복사, 배포될 수 없습니다.
웹사이트 방문자를 위하여 이 웹사이트로부터 인터넷상의 다른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무법인 태민은 그러한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를 추천하거나, 그 내용을 보장하거나, 그러한 정보원 또는 웹사이트에서 검색된 정보에 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